devFancy BE Developer

[Dev] 함께 자라기 - 애자일로 가는 길

2023-11-19
devFancy

이 글은 함께 자라기 책을 읽고 저의 생각과 같이 정리한 내용입니다.

책을 2월에 사고 난 뒤 9개월이 지난 지금에서야 다 읽게 되었다.

2월 당시에는 팀 프로젝트를 하기 전이라, 협업에 대해 크게 흥미가 없어서 그런지 집중이 잘 안됐다.

하지만 3월부터 10월까지 진행했던 히빗과 8월부터 9월까지 진행했던 굿프렌즈 팀 프로젝트를 경험한 이후에, 이 책을 다시 읽어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기존에 중반까지 읽었던 내용을 주말 동안 다시 복습 겸? 읽으면서 완독을 했다.

확실히 협업과 관련된 경험을 하고 나서 읽으니까, 공감된 부분들도 많았고 더 관심 있게 읽으면서 빠르게 완독할 수 있었다.

아래는 책을 읽으면서 개인적으로 느낀 인상 깊었던 부분 몇 개를 내 생각과 같이 정리해 보려고 한다.

실제 실력과 상관있는 것은 의도적 수련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개발에서 점차 경력 연수를 중시하는 문화가 사라질 것이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자신의 경력 연차 외에 다른 것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안데쉬 에릭손의 1만 시간 법칙이 유행이었다. 그런데 이 법칙에서 나오는 시간을 본인의 경력과 연관 지어선 안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일상생활에 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하루 세 번 3분씩 이를 닦는다. 하지만 이를 매일 닦는다고 10년, 20년 이후에도 이를 닦는 경력이 실력과 관련이 없다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의도적 수련(deliberate practice)이란 자신의 기량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반복적으로 하는 수련을 의미한다.

국내 여러 스포츠 종목에서 국가대표로 지내는 선수분들은 세계 대회에 출전해서 메달을 따기 위해 매일 본인의 약점을 개선하고, 강점을 더 강화하는 애쓰는 수련을 하고 있다.

이 글을 읽고, ‘내가 공부한 것이 의도적인 수련인가?’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단순히 남이 작성한 글을 읽거나 강의를 듣는 시간이 아니라, 누군가한테 설명할 정도의 수준까지 내 것으로 만드는 시간이 의도적인 수련이라고 생각한다.

정리하자면, 단순히 인풋만 하는 게 아니라 아웃풋까지 이어 나가는 과정과 결과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유튜브 채널: 개발바닥 - 용기를 잃지않는 개발자 이력서 (55초 ~)

위의 내용과 완전히 일치하진 않지만, 최근 개발바닥 채널에서 “용기를 잃지않는 개발자 이력서”에서도 향로님이 말씀해주신 내용을 가져와 봤다.

나는 ~~을 위해 이걸 했고, 그래서 그 결과가 ~~이다 이어져야 개인의 실력이 성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흔히 이력서를 작성할 때에도 Why - What - How - Result과 같이 작성해야 보는 사람에게도 더 읽기 쉬워진다.

자기개발은 복리로 돌아온다.

IT 기업에서 종사하시는 여러 직무의 분들이 연말에 한 해를 되돌아보면서 회고라는 글을 작성한다.

일 년 회고를 할 때 항상 되짚어 보는 것 중 하나가 나 자신에게 얼마나 투자를 했냐라는 것이다.

자기개발이 중요한 이유는 현재 나에게 무엇을 투자했느냐가 1년, 혹은 2년 후의 나를 결정한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2022년 2학기 때 대학교에서 ‘운영체제’라는 과목을 수업하시는 교수님이 하신 말씀이 기억이 문득 생각났다.

교수님이 이전 삼성전자에 재직할 당시에, ‘전체 사원들 중 10% 이하 만이 자기개발을 하고, 나머지 90%는 현재 삶에 만족하는 경우가 많다’ 라고 하셨다.

이 책에서도 2시간 이상 자기개발에 투자하는 사람이 13.2%밖에 되지 않았다. (물론 2012년에 조사한 자료라, 현재와 다를 수 있다)

평소 자기개발을 열심히 하시면서,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여러 현직자분들이 좋은 회사에 이직한 것을 블로그를 통해 많이 봤다.

나는 회사에서 일을 해본 경험이 적고, 이직 경험도 없어서 크게 와닿지는 않지만, 꾸준히 자기개발을 하면서 그러한 경험을 맛보는 기회를 언젠간 찾아오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적절한 실력과 작업 난이도를 조절하면서 성장한다.

위 그림은 실력작업 난이도를 기준으로 심리 상태를 그린 도식이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몰입에 해당하는 영역인데, 이때 최고 수준의 집중력을 보이고, 그 덕분에 퍼포먼스학습 능력이 최대치가 될 수 있다고 한다.

해당 영역이 아닌, 실력이 작업 난이도를 초과하면 지루함을 느끼는 영역이나 실력보다 높은 난이도의 작업을 하면 불안함(혹은 두려움)을 느낀다고 한다.

‘팬시님! 현 프로젝트에 통합 및 인수 테스트를 작성해 주세요~ ‘와 같은 작업이 왔을 때 어렵다고 느껴지면, 우선 단위 테스트 작성하는 방법부터 익히도록 하자.

실수는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하는 것이다.

실수 관리 문화 에서는 실수가 나쁜 결과를 내기 전에 빨리 회복하도록 돕고, 실수를 공개하고, 실수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고 거기에서 배우는 분위기가 생긴다.

회사 문화가 실수 관리에 가까울수록 그 기업의 혁신 정도가 더 높고, 회사의 수익성이 더 높다는 연구 자료가 있다.

즉, 실수 관리를 하는 문화일수록 학습을 더 잘한다.

팀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반드시는 아니지만, 실수가 종종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마다 실수를 한 팀원에게 따끔한 충고보단 따뜻한 조언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똑같은 실수에 대해 반복적이면 안 되겠지만, 처음 하는 실수에 대해서는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고, 그런 상황이 발생할 때 어떻게 해야 나은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을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하면서 답을 찾아가 보자.

사회적 자본과 기술

새로운 기술을 개인 또는 외부 스터디 활동을 통해서 배웠다고 회사에 바로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아무리 기술적인 실천법이라고 해도 그 기술은 사회적 맥락속에서 실천되어야 하며, 그 기술의 성공을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기술이 함께 필요하다.

이 책에서는 신뢰 구축을 보다 잘하는 사람을 사회적 자본이 좋은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이 좋은 사람들이 통상 사회적 기술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뛰어난 개발자일수록 동료와의 협업에 시간을 투자하는 부분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TDD(테스트 주도 개발)이라는 프로그래밍 기법을 가져왔다면, 해당 기법 전체를 단번에 적용하는 것보다는 팀원들과 지속적으로 협업하면서 기초적인 개념부터 천천히 도입하는 방향으로 가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이전 팀 프로젝트에서 DDD 패턴을 도입했을 때, 해당 개념의 전체적인 것을 적용하지 않고 일부의 개념만 도입하고 이후에 추가하는 식으로 진행했었다.

신뢰 자산의 중요성

신뢰 자산이 높은 조직은 커뮤니케이션 효율이나 생산성이 높다.

특히 애자일을 제대로 하려는 조직이라면 이 부분에 많은 노력을 들이고 있다.

이 책에서는 신뢰를 쌓는 데에 널리 사용되는 한 가지 방법은 투명성, 공유, 인터랙션이라고 한다.

자신이 한 작업물을 투명하게 서로 공유하고 그에 대해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인터랙션을 하는 것이다.

개발자끼리 팀 프로젝트를 진행했을 때, 기획부터 같이 진행한 적이 있었다. 그때 각자만의 아이디어를 공유할 때 한 사람당 여러 개의 아이디어를 공유했는데, 여기서도 그와 관련된 글이 있다.

나의 아이디어가 1개밖에 없다면, 아아디어=나가 되어서 상대방이 나에게 뭐라고 하기가 쉽지 않다.

반면에 복수로 공유하면, 그런 불안감이 상대적으로 덜하고, 부정적인 피드백을 수용하려는 마음도 있다.

이 책에서는 복수 공유를 한 그룹이 단수로 공유하는 것보다(개인당 아이디어가 1개) 신뢰도가 높아지고 성과도 더 좋았다고 합니다.

설득할 때 주관적인 부분도 필요하다.

품질 전문가 제럴드 와인버그는 품질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품질 이란 누군가에게 가치가 되는 것이다.”

사실 품질은 사람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가 없다.

고품질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은 ‘인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설득도 마찬가지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설득을 하기 위해 객관성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사실 객관성을 정의하는 것도 사람이기 때문에, 이 개념 자체가 매우 주관적이라는 것이다.

회사에는 직원과 사장이 있고, 중요한 부분을 결정하고 실행하기 전에는 직원이 사장으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사장도 사람이기 때문에, 사장을 설득하라면 어쩔 수 없이 객관적인 자료뿐 아니라 감정적이고 직관적인 부분도 필요하다.

이 책에서는 남을 설득하려면 논리성과 객관성에 대한 환성을 버려야 하고, 그래야 현실적으로 설득이 가능하다고 한다.

결국, 설득에 성공하려면 우선 그 사람을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그런 이유로 설득을 하기 위해 ‘객관적’인 자료뿐 아니라 그 이상으로 상대를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상대방에게 신뢰감을 잃어버리면, 아무리 좋은 ‘객관적’인 자료와 근거가 있더라도 소용없다.

심리적 안전감

이 책에서는 심리적 안전감을 내 생각이나 의견, 질문, 걱정, 혹은 실수가 드러났을 때 처벌받거나 놀리지 않을 거라는 믿음을 말한다고 한다.

이 개념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팀원 간의 의견을 주고 받는게 없다면, 이러한 심리적 안전감이 떨어질 것이고, 갈수록 상대방에 대한 이해가 낮아질 것이라고 본다.

히빗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매주 회의를 팀원들과 같이 진행하면서 모르는 부분이나 궁금한 부분들을 적극적으로 물어봤고, 나에게 질문이 들어오는 경우에도 최대한 자세히 알려주려고 노력했다.

개발을 하면서, 어려운 부분을 마주쳤을 때 혼자서 끙끙 앓는 것보다는 혼자서 어느 정도의 시간을 투자한 뒤에 동일 직군의 팀원에게 물어보는게 팀 전체적으로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Review

이 책의 제목인 함께 자라기는 함께(협력)과 자라기(학습)을 내포하고 있다.

협력과 학습에 대한 중요성을 여러 가지 상황을 예시로 들면서, 좋은 해결 방안을 알려주고 있는 내용이었다.

이후에 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면, 이 책을 다시 한번 복기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나에게 도움을 많이 준 책이다.

Reference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