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적용한 Logging Filter 와 관련된 개념을 정리하고,
Spring Boot 프로젝트에 이를 적용한 실제 사례를 공유합니다.
관련 포스팅
해당 섹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세부 섹션에 있는 내용은 해당 글과 다른 자료들을 종합해서 정리했습니다.
Filter
는 Spring Framework의 일부가 아닌 웹 서버(servlet container) 수준의 컴포넌트입니다.
요청과 응답을 서블릿이 처리하기 전후로 가로채어 조작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Spring Security
가 있습니다.
Spring Security
에서는 인증/인가를 위해 여러 개의 Filter 체인을 사용하며, 이를 Spring과 연동하기 위해 DelegatingFilterProxy
를 활용합니다.
이 구조 덕분에 Spring Security
는 Spring MVC에 종속되지 않고도 동작할 수 있습니다.
Filter는 다음과 같은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init
: 필터 초기화 시 호출doFilter
: 요청과 응답을 가로채어 처리 (핵심 메서드)destroy
: 필터 종료 시 호출멀티 모듈 프로젝트로 전환하면서 환경별 로그 설정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습니다.
운영 환경에서는 로그의 형식과 수준이 서비스 안정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합니다.
이번 글은 실제 운영 환경에서 적용하는 것 보다는 멀티 모듈 구조에서 환경별로 logback.xml
을 구성한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작성했습니다.
관련 포스팅
글또는 글 쓰는 개발자 모임의 줄임말입니다. 궁금하시다면 글또 운영진분들이 만든 홈페이지에 가보시면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난 글또 9기 회고에 이어, 글또 10기가 3월 30일을 끝으로 마무리되면서 지난 6개월간의 활동을 돌아보고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글또 10기를 시작한 이유는 9기 때와 마찬가지로 글을 꾸준히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글쓰기 외에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장점들이 있어 다시 한번 참여하게 되었다.
이번 10기를 가로(INPUT/OUTPUT/못해서 아쉬운 것)과 세로(예상했던 일/예상에 없던 일)를 기준으로 표를 만들었고, 활동을 키워드로 정리해본 결과, 아래 그림과 같이 필자의 주요 활동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해당 회고 템플릿을 제공해준 YI님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
이 글은 넥스트스텝의 DDD 세레나데 7기 교육을 5주간 참여하며 배운 경험과 느낀 점을 정리한 후기입니다.
아래는 DDD 세레나데 7기 교육을 무사히 끝마친 후 받은 수료증입니다.
DDD 세레나데 7기에 참여하면서 도메인 주도 설계(DDD)의 기본 개념부터 실전 적용까지 다양한 내용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미션을 수행하며 리뷰어 피드백을 반영하는 과정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1주차에 대한 리뷰는 이미 작성한 글인 DDD 세레나데 7기 1주차 (feat. 이벤트 스토밍) 를 참고하시면 되므로, 이번 글에서는 2주차부터 정리하고자 합니다.
이 글을 삶의 태도를 돌아보는 면접의 질문들 책을 읽고, 책의 내용을 정리하며 필자의 개인적인 생각을 함께 정리한 것입니다.
이 책의 제목을 보면 처음에는 ‘면접을 어떻게 잘 볼 수 있을까?’라는 궁금증에서 읽기 시작했다.
하지만 책을 읽어갈수록, 면접 기술을 배우는 것을 넘어 면접이라는 과정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특히 직장인이라면, 면접을 단순한 평가가 아니라 자신의 일하는 방식과 태도를 되돌아볼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 있는 책이었다.
이 책은 단순히 면접을 잘 보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해왔던 일들을 돌아보고,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일해야 하는지 고민할 기회를 제공하는 책이다. 필자는 책을 읽으며 정리한 내용을 개인적인 경험과 해석을 덧붙여 작성했다. 따라서 본문의 내용이 실제 책과 100%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미리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