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에서 GPU를 사용하면서 관련 명령어인 nvidia-smi 에 대해 공식문서를 바탕으로 정리하고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nvidia-smi
는 NVIDIA System Management Interface의 약자로, NVIDIA GPU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딥러닝 등 GPU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필수적인 도구 중 하나이다.
이 글은 카프카 핵심 가이드 책을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이 글에서 다루는 모든 코드는 깃허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
: 본 글에서 소개되는 코드 예시는 현재 시점의 구현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프로젝트가 발전함에 따라 내용이 변경되거나 개선될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카프카 핵심 가이드” 4장 내용을 바탕으로 카프카 컨슈머의 개념, 처리 속도, 리밸런싱 전략에 대해 내용을 정리했다.
이론적인 개념 설명과 더불어, 실제 Spring Kafka 환경에서 어떻게 컨슈머를 구현하고 사용하는지 개인 프로젝트 코드를 통해 함께 살펴본다.
이 글은 카프카 핵심 가이드 책을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이 글에서 다루는 모든 코드는 깃허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
: 본 글에서 소개되는 코드 예시는 현재 시점의 구현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프로젝트가 발전함에 따라 내용이 변경되거나 개선될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카프카 핵심 가이드” 책을 현재 두 번째 읽고 있지만, 생각보다 책의 난이도가 있고,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서 책에 있는 내용 중에 중요한 내용 위주로 정리하기 위해 + 간단한 실습 정리를 위해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이 글은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되, 앞으로 프로듀서와 관련하여 실무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개념이 있다면 지속적으로 내용을 보완하고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책의 3장을 참고하자.
이 글은 카프카 핵심 가이드 책을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이 글에서 다루는 모든 코드는 깃허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
: 본 글에서 소개되는 코드 예시는 현재 시점의 구현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프로젝트가 발전함에 따라 내용이 변경되거나 개선될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카프카 핵심 가이드” 2장 내용을 바탕으로 카프카의 기본 구성 요소와 설치, 그리고 운영에 필수적인 설정 값들 정리해보았다.
특히 쿠폰 시스템 개발 환경에서 docker-compose.yml
을 사용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실제 설정과 연결해 이해를 돕고자 한다.
자세한 내용은 책의 2장을 참고하자.
이 글은 카프카 핵심 가이드 책을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카프카 핵심 가이드’ 책의 1장 ‘카프카 시작하기’를 읽고, 꼭 알아야 할 내용(핵심 위주)만 정리했다.
이 글에서는 카프카를 왜 사용해야 하는지(Why), 그리고 카프카를 구성하는 핵심 개념은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췄다.
자세한 내용은 책의 1장을 참고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