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요즘 당근 AI 개발 책을 읽고 느낀 필자의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해당 책에서 인상깊게 봤던 부분은 깃허브에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IT 서비스 회사 중 하나인 당근팀에서는 AI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궁금해서 해당 책을 읽게 되었다.
해당 책에 대한 저자분들이 아래 유튜브 영상에서 소개해주는 내용이 있는데,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Youtube] 개발자 없이 AI로 프로덕트 a-z 완성하기 (2025.10.13)
[Youtube] CS 도메인에서 AI로 압도적인 사용자 경험 제공하기 (2025.10.27)
두 개의 영상을 보면서 느낀점은 “개발자 없이 AI로 프로덕트 a-z 완성하기” 영상의 경우 비개발자에 맞춰서 해당 책을 리뷰한 내용이 크고,
“CS 도메인에서 AI로 압도적인 사용자 경험 제공하기” 의 경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 맞춰서 책을 리뷰한 부분이 있다. (개인적으로 이 부분이 더 도움을 받았던 영상이었다)
이 글은 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강의를 듣고 느낀 필자의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해당 강의를 들으면서 중요하거나 기억하고 싶은 부분들을 Github에 정리했습니다.
해당 강의를 듣게된 배경
필자는 이전부터 커머스 도메인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왔고, 성장을 위해 가고자하는 부분이 커리어 방향성과 맞는지 확인하고 싶어서 이 강의를 듣게 되었다.
또한, 해당 강의를 만드신 분이 개인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유튜브 영상도 즐겨봐왔기 때문에 강의는 어떤 식으로 만들었는지도 궁금해서 더 관심을 가진 부분도 있다.
이 글은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책을 읽고 느낀 필자의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올해 1월 넥스트스텝에서 주관한 DDD 세레나데 7기 강의를 들으면서 관련 후기 및 내용을 정리한 적이 있다.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책 읽고 정리한 내용 관련 링크: Github
관련 포스팅
해당 강의를 들으며 DDD 관련 책을 읽어야겠다고 다짐했지만, 이런저런 일에 밀려 미루다 9월이 되어서야 드디어 이 책을 펼치게 되었다.
강의가 실무 기반의 내용 위주였다면, 이 책은 DDD의 핵심 개념을 다루는 이론적인 내용에 더 가까웠다.
토스뱅크에서 Server Developer 개발자분들이 발표한 영상을 듣고 유익한 내용이 있어서 포스팅으로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토스뱅크에서 Server Developer 이응준님이 발표한 “왜 은행은 무한스크롤이 안되나요” 영상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개인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인상 깊었고, 내용 면에서도 유익한 부분들이 많아 3년 전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깊이 있게 정리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