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 바닥장식([백준] 4963.)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class FloorDecoration { static final int MAX = 50 + 10; static char[][] map; static boolean[][] visited;
public static void dfs(int y, int x) { visited[y][x] = true;
if(map[y][x] == '-' && map[y][x+1] == '-') {
dfs(y, x+1);
}
if(map[y][x] == '|' && map[y+1][x] == '|') {
dfs(y+1, x);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 0. 입력 및 초기화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 = new char[MAX][MAX];
visited = new boolean[MAX][MAX];
메모리: 16044 KB, 시간: 164 ms - Answer Code2(2023.02.09) - BFS
메모리: 16236 KB, 시간: 160 ms - Answer Code1(2023.02.09) - DFS
메모리: 15792 KB, 시간: 164 ms - Answer Code3(2023.12.04) - DF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ground; //2차원 배열로 배추밭을 표현한다
static boolean[][] check; //2차원 배열로 배추가 있는 곳을 체크한다
static int weight; //배추밭의 가로
static int height; //배추밭의 세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for (int i = 0; i < T;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weigh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heigh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ound = new int[weight][height];
check = new boolean[weight][height];
int K = Integer.parseInt(st.nextToken());
for (int j = 0; j < K; j++)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int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ound[x][y] = 1; //배추 좌표 입력
}
//===========================================================
//여기까지는 입력된 내용 저장하는 내용이다.
int count=0; //테스트 케이스마다 지렁이의 개수를 세야한다
//bfs의 시작좌표를 셋팅해서 다른 곳에 모여있는 배추들도 파악할 수 있게한다
//가로 세로 좌표들을 하나씩 입력해주고
for (int j = 0; j < weight; j++) {
for (int k = 0; k < height; k++) {
//좌표에 배추가 있는지 확인, 내가 체크안한 곳인지 확인한다
if(ground[j][k] == 1 && !check[j][k]){
//배추가 있고 체크안된 좌표에서부터 bfs로 연결된 곳을 파악한다
bfs(j, k);
//지렁이의 개수는 인접한 곳마다 1개씩이다.
//인접한 곳을 모두 파악했으면 지렁이를 한마리 놓는다.
count++;
}
}
}
System.out.println(count);
}
}
private static void bfs(int startX, int startY) {
Queue<int[]> queue = new LinkedList<>();
//bfs에서 queue의 역할은 다음 탐색할 좌표를 미리 저장해 놓는 것이다.
//bfs 1번 실행될때마다 인접한 곳을 모두 탐색하고 종료되니 bfs안에 queue를 선언했다.
queue.offer(new int[] {startX, startY});
//x, y좌표 저장
check[startX][startY] = true;
//시작좌표엔 배추가 있으니 미리 true로 처리해준다.
int[] X = {0, 0, -1, +1};
int[] Y = {-1, +1, 0, 0};
//배추가 상하좌우에 인접하면 이동할 수 있다.
//현재좌표에서 상하좌우 움직이는 좌표를 지정한다.
//queue가 비어있으면 더이상 인접한 배추가 없다는 뜻이다.
while(!queue.isEmpty()){
int[] poll = queue.poll();
//저장된 queue를 꺼낸다
//상하좌우 4가지 방법이니 for문 4번 반복
for (int i = 0; i < 4; i++) {
int x = poll[0] + X[i];
int y = poll[1] + Y[i];
//상하좌우 좌표 조정
//좌표가 배추밭을 벗어나게되면 다음 좌표를 체크해야한다
if(x < 0 || x >= weight || y < 0 || y >= height){
continue;
}
//상하좌우 움직인 좌표에 배추가 있고, 체크하지 않은 좌표이면
if(ground[x][y] == 1 & !check[x][y]){
queue.offer(new int[] {x, y});
//좌표를 저장한다.
check[x][y] = true;
//체크한다
}
}
}
}
}
```java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ground; //2차원 배열로 배추밭을 표현한다
static boolean[][] check; //2차원 배열로 배추가 있는 곳을 체크한다
static int weight; //배추밭의 가로
static int height; //배추밭의 세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for (int i = 0; i < T;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weigh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heigh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ound = new int[weight][height];
check = new boolean[weight][height];
int K = Integer.parseInt(st.nextToken());
for (int j = 0; j < K; j++)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int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ound[x][y] = 1; //배추 좌표 입력
}
//===========================================================
//여기까지는 입력된 내용 저장하는 내용이다.
int count=0; //테스트 케이스마다 지렁이의 개수를 세야한다
//bfs의 시작좌표를 셋팅해서 다른 곳에 모여있는 배추들도 파악할 수 있게한다
//가로 세로 좌표들을 하나씩 입력해주고
for (int j = 0; j < weight; j++) {
for (int k = 0; k < height; k++) {
//좌표에 배추가 있는지 확인, 내가 체크안한 곳인지 확인한다
if(ground[j][k] == 1 && !check[j][k]){
//배추가 있고 체크안된 좌표에서부터 dfs로 연결된 곳을 파악한다
dfs(j, k);
//지렁이의 개수는 인접한 곳마다 1개씩이다.
//인접한 곳을 모두 파악했으면 지렁이를 한마리 놓는다.
count++;
}
}
}
System.out.println(count);
}
}
private static void dfs(int startX, int startY) {
check[startX][startY] = true;
//시작좌표엔 배추가 있으니 미리 true로 처리해준다.
int[] X = {0, 0, -1, +1};
int[] Y = {-1, +1, 0, 0};
//배추가 상하좌우에 인접하면 이동할 수 있다.
//현재좌표에서 상하좌우 움직이는 좌표를 지정한다.
//상하좌우 4가지 방법이니 for문 4번 반복
for (int i = 0; i < 4; i++) {
int x = startX + X[i];
int y = startY + Y[i];
//상하좌우 좌표 조정
//좌표가 배추밭을 벗어나게되면 다음 좌표를 체크해야한다
if(x < 0 || x >= weight || y < 0 || y >= height){
continue;
}
//상하좌우 움직인 좌표에 배추가 있고, 체크하지 않은 좌표이면
if(ground[x][y] == 1 & !check[x][y]){
dfs(x, y); //해당 좌표로 dfs 실행
}
}
// 침투 (백준 13565)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class Penetrate {
static final int MAX = 1000 + 10;
static boolean[][] map;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M, N;
static int dirX[] = {-1, 1, 0, 0};
static int dirY[] = {0, 0, -1, 1};
static boolean answer;
public static void dfs(int y, int x) {
if(y == N) {
answer = true;
return;
}
visited[y][x] = true;
for(int i = 0; i < 4; i++) {
int newX = x + dirX[i];
int newY = y + dirY[i];
if(map[newY][newX] && visited[newY][newX] == false)
dfs(newY, newX);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 0. 입력 및 초기화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1. map에 정보 반영하기
map = new boolean[MAX][MAX];
visited = new boolean[MAX][MAX];
for(int i = 1; i <= N; i++) {
String str = br.readLine();
for(int j = 1; j <= M; j++)
map[i][j] = (str.charAt(j - 1) == '0' ? true : false);
}
// 2. dfs 수행
for(int j = 1; j <= M; j++) {
if(map[1][j]) {
dfs(1, j);
}
}
// 3. 출력
if(answer) bw.write("YES");
else bw.write("NO");
bw.close();
br.close();
}
}
이 문제에서 DFS를 떠올릴 수 있는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상하좌우로 인접한 흰색 격자들
안쪽까지 침두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
문제에서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0’으로 해주고, 흐르지 않는 것을 ‘1’로 나와있는데, 이는 문제를 풀때 헷갈릴 수 있다.
그래서 전류가 흐르는 것을 ‘1’로 하고, 흐르지 않는 것을 ‘0’으로 해주기 위해 바꿔주는 로직을 구성한다.
이 문제에서 핵심은 내가 방문하고자 하는 곳을 1
로 하는 것이 훨씬 더 유리하다.
이 문제에서는 첫 번째 줄에서 시작해서 마지막에 도달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므로 dfs(1, j)
라고 해준 것이다.
[1]. map에 정보 반영하기
[2]. dfs 수행
처음 시작 위치가 1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dfs(1, j)
과 같이 표현한 것이고,
M번 만큼 반복하면서 값이 true일 경우에 한해서만 dfs를 수행하기 때문에 for문 안에 조건문인 if(map[1][j])
을 추가해준 것이다.
dfs를 수행할 때, 상하좌우로 확인하므로 반복문 for(int i = 0; i < 4; i++)
과 방향에 대한 dirX, dirY를 선언해줬다.
그리고 상하좌우를 확인할 때, map에 해당하는 값이 true(1)이고, 방문한 적이 없을 경우에만 dfs를 다시 호출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dfs 메서드 시작할 때, if(y == N)
을 한 이유는 안쪽까지 도달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만약 안쪽까지 도달했다면, 즉 N번 줄에 도달했다면 침투를 했다는 의미이므로 answer
값을 true로 바꿔주고 return 해주면 된다.
[3]. 출력
visited 없이 map으로만 구현하기
아래는 visited 없이 map으로도 구현한 코드이다.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class Penetrate {
static final int MAX = 1000 + 10;
static boolean[][] map;
static int M, N;
static int dirX[] = {-1, 1, 0, 0};
static int dirY[] = {0, 0, -1, 1};
static boolean answer;
public static void dfs(int y, int x) {
if(y == N) {
answer = true;
return;
}
map[y][x] = false;
for(int i = 0; i < 4; i++) {
int newX = x + dirX[i];
int newY = y + dirY[i];
if(map[newY][newX])
dfs(newY, newX);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 0. 입력 및 초기화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 = new boolean[MAX][MAX];
// 1. map에 정보 반영하기
for(int i = 1; i <= N; i++) {
String str = br.readLine();
for(int j = 1; j <= M; j++) {
map[i][j] = (str.charAt(j - 1) == '0' ? true : false);
}
}
// 2. dfs 수행
for(int j = 1; j <= M; j++) {
if(map[1][j])
dfs(1, j);
}
// 3. 출력
if(answer) bw.write("YES");
else bw.write("NO");
bw.close();
br.close();
}
}
package DFS;
// 24.01.16 침투 복습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class Penetrate_2 {
static final int MAX = 1000 + 10;
static boolean[][] map;
static int N, M;
static boolean answer;
static int[] dirX = {-1, 1, 0, 0};
static int[] dirY = {0, 0, -1, 1};
public static void dfs(int x, int y) {
if(x == N) {
answer = true;
return;
}
map[x][y] = false;
for(int i = 0; i < 4; i++) {
int newX = x + dirX[i];
int newY = y + dirY[i];
if(map[newX][newY]) {
dfs(newX, newY);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 0. 입력 및 초기화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1. map에 정보반영
map = new boolean[MAX][MAX];
for(int i = 1; i <= N; i++) {
String str = br.readLine();
for(int j = 1; j <= M; j++) {
map[i][j] = (str.charAt(j - 1) == '0' ? true : false);
}
}
// 2. bfs 호출
for(int j = 1; j <= M; j++) {
if(map[1][j]) {
dfs(1, j);
}
}
// 3. 출력
if(answer) bw.write("YES");
else bw.write("NO");
bw.close();
br.close();
}
}
문제를 풀기 시작하기 전에, 아래 5가지를 생각해보면서 접근해보자.
상하좌우로 인접한 흰색 격자들로 전달 -> DFS/BFS
서로 연결되었다는 정보를 어떻게 하나의 자료구조로 통합할까? -> 2차원 배열
이미 방문한 지점을 다시 방문하지 않으려면 어떤 자료구조를 사용해야 할까?
visited 배열을 생략할 수는 없을까?
어느 지점에서 dfs를 시작할까?
visited 없이 map으로만 할 경우 처리 시간
이 1892(ms) -> 1356(ms) 줄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래도 이해를 위해 우선 visited 변수를 사용해서 풀어보고, 완전히 dfs를 이해했다면 이후에는 visited 없이도 바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하자.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class TreeParentSearch {
static final int MAX = 100000 + 10;
static ArrayList<Integer>[] graph;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N;
static int[] answer;
public static void dfs(int idx) {
visited[idx] = true;
for(int i = 0; i < graph[idx].size(); i++) {
int next = graph[idx].get(i);
if(visited[next] == false) {
answer[next] = idx;
dfs(next);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0. 입력 및 초기화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graph = new ArrayList[MAX];
for(int i = 1; i <= N; i++) {
graph[i] = new ArrayList<>();
}
visited = new boolean[MAX];
answer = new int[MAX];
// 1. 연결 정보 채우기
int x, y;
for(int i = 0; i < N-1;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aph[x].add(y);
graph[y].add(x);
}
// 2. dfs(재귀 함수) 호출하기
dfs(1);
// 3. 출력
for(int i = 2; i <= N; i++) {
bw.write(String.valueOf(answer[i]));
bw.newLine();
}
bw.close();
br.close();
}
}
‘각 노드의 부모를 구하라’ => 다른 말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노드의 상위 노드가 누구인지 찾는 문제였다.
그리고 트리의 루트를 1
이라고 문제에서 주어졌기 때문에, 최상단 노드는 1
부터 시작한다는 의미이다. => dfs(1);
class TreeParentSearch {
public static void dfs(int idx) {
visited[idx] = true;
for (int i = 0; i < graph[idx].size(); i++) {
int next = graph[idx].get(i);
if (visited[next] == false) {
answer[next] = idx;
dfs(next);
}
}
}
}
우선 해당 노드를 방문했기 때문에, visited[idx] = true;
를 해준다.
그런 다음, graph[idx].size();
만큼 반복문을 돌리는 것인데,
해석하자면, ArrayList<Integer>[]
형인 graph에서 해당 index에 있는 size만큼 반복문을 돌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첫번째 예시에서 연결된 두 정점을 통해 1이 연결된 값이 4와 6이라면, 1에 해당하는 size, 즉 graph[1].size()
는 2개를 의미한다.
그리고 next = graph[idx].get(i);
을 해석하자면,
문제에서 연결된 두 정점을 바탕으로 ArrayList를 그려보면, graph[1].get(0);
= 6이라는 값이 next
변수에 넣어주게 된다.
그런 다음, 아직 방문하지 않았다면, dfs(재귀 함수)를 호출한다.
이때, dfs(재귀 함수)를 호출하기 이전에, 부모 노드인 값(idx)을 answer
라는 변수에 담아준다.
예를 들어, 1번째 인덱스에서 6이라는 녀석에 dfs를 호출하는데, 6의 부모 노드의 값이 1이므로 answer[6] = 1
과 같이 answer
라는 변수에 담아준다.
그리고 dfs(6)
을 호출한다.
매번 이러한 유형의 문제를 접할때 마다 그래프
라는 자료구조를 어떻게 잡아야 할지,
그리고 재방문은 어떻게 방지할지,
마지막으로 정답은 어떤 자료구조에 담아야 잘 출력할지 고민하는 연습을 계속하자.
트리/각 노드의 부모를 찾아라 => DFS/BFS
문제에서 주어진 N
이라는 값이 크면 ArrayList
를 이용하자.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 check; //간선 연결상태
static boolean [] checked; //확인 여부
static int n; //정점 개수
static int m; //간선 개수
static int start; // 시작정점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tar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check = new int[1001][1001]; // 좌표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위해 +1 해서 선언
checked = new boolean[1001]; // 초기값 : false
//간선 연결상태 저장
for(int i = 0; i < m; i++) {
StringTokenizer str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x = Integer.parseInt(str.nextToken());
int y = Integer.parseInt(str.nextToken());
check[x][y] = check[y][x] = 1;
}
//dfs 호출
dfs(start);
checked = new boolean[1001]; // 확인상태 초기화
System.out.println(); // 줄바꿈
//bfs 호출
bfs(start);
}
//시작점을 변수로 받아 확인, 출력 후 다음 연결점을 찾아 시작점을 변경하여 재호출
public static void dfs(int start) {
checked[start] = true;
System.out.print(start + " ");
for(int j = 1; j <= n; j++) {
if(check[start][j] == 1 && checked[j] == false) {
dfs(j);
}
}
}
public static void bfs(int start) {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Integer>();
queue.offer(start); // 시작점도 Queue에 넣어야 함
checked[start] = true;
System.out.print(start + " ");
//Queue가 비어있을 때까지 반복. 방문 정점은 확인, 출력 후 Queue에 넣어 순서대로 확인
while(!queue.isEmpty()) {
int temp = queue.poll();
for(int j = 1; j <= n; j++) {
if(check[temp][j] == 1 && checked[j] == false) {
queue.offer(j);
checked[j] = true;
System.out.print(j + " ");
}
}
}
}
}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class Main {
static final int MAX = 1000 + 10;
static boolean[][] graph;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ArrayList<Integer> queue; // bfs를 위해 만든 것
static int N, M, V;
public static void dfs(int idx) {
visited[idx] = true;
System.out.print(idx + " "); // 몇 번째 노드를 방문했다.
for(int i = 1; i <= N; i++) {
if(visited[i] == false && graph[idx][i] == true) {
dfs(i);
}
}
}
/*
* bfs() 풀이 과정
* 1. queue를 만들고, visited를 새로 초기화해준다.
* 2. 가장 첫 번째 시작 정점이라는 값(1)을 추가해주고, 그 값(1)을 방문했다라고 표기해준다. (처음 V 값이 1이므로)
* 3. !queue.isEmpty() 때까지, 가장 앞에 있는 값을 꺼내오고, 출력해 준 다음에 그 값을 기준으로 방문할 수 있는 값들을 방문한다.
*
*/
public static void bfs() {
queue = new ArrayList<>();
visited = new boolean[MAX];
queue.add(V);
visited[V] = true;
while (!queue.isEmpty()) {
int idx = queue.remove(0); // 가장 앞에 있는 녀석을 꺼내서 걔를 인덱스에 담겠다.
System.out.print(idx + " ");
for(int i = 1; i <= N; i++) {
if(visited[i] == false && graph[idx][i] == true) {
queue.add(i);
visited[i] = true;
}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 0. 입력 및 초기화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aph = new boolean[MAX][MAX];
visited = new boolean[MAX];
// 1. graph에 연결 정보 채우기
for(int i = 0; i < M;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aph[x][y] = true;
graph[y][x] = true;
}
// 2. dfs(재귀 함수) 호출 + 출력하기
dfs(V);
System.out.println();
// 3. bfs(너비 우선 탐색) 호출 + 출력하기
bfs();
// 4. 종료
br.close();
}
}
23.02.15
해당 문제는 dfs, bfs 관련 문제를 처음 풀기 좋은 정석같은 문제였다.
입출력 부분에서 BufferedReader
사용하는 방법을 처음 알게 되었다. 그동안 Scanner를 이용해서 풀었는데, 이번에는 다른 방식으로 풀면서 해당 개념에 대해 배워서 좋았다.
dfs
, bfs
에 대해서는 관련 문제들을 풀면서 개념을 계속적으로 복습해 나가면서, 최종적으로는 머릿속으로도 문제를 풀 수 있는 실력을 갖추도록 하자.
23.11.15
bfs 문제를 풀 때는 queue 자료구조를 사용하고, 관련 메서드 함수들을 기억해두자.
만약 내림차순으로 방문한다라고 가정한다면, dfs 함수에서 for문을 for(int i = N; i >= 1; i--)
로 수정해주면 된다. -> 가장 큰 값부터 가장 작은 값까지 방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