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실제 히빗 프로젝트(ver.2)를 혼자서 개발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해당 이슈에서 고민했던 주제입니다.
아래 부터는 ‘히빗 프로젝트(ver.2)’를 히빗2
라고 줄여서 작성했습니다.
이 글은 실제 히빗 프로젝트(ver.2)를 혼자서 개발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EntityGraph
가 무엇이고 어떻게 적용해야할지 궁금한 개발자현재, 특정 게시글 조회를 위한 API에 대한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다음 가정을 설정했다.
이 글은 실제 히빗 프로젝트(ver.2)를 혼자서 개발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예상 독자: 동시성 처리로 인한 데이터 정합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대해 궁금한 개발자
히빗 (ver.1)에서 발생한 데이터 정합성 문제를 히빗2 (ver.2)를 통해 해결한 과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이 글은 실제 히빗 프로젝트(ver.2)를 혼자서 개발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예상 독자: 성능 테스트에 대한 도구와 설치 과정에 대해 궁금한 개발자
아래 글부터는 히빗 프로젝트(ver.2) 를 히빗2
로 줄여서 작성했습니다.
성능 테스트
는 특정 상황에서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어떻게 수행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테스트이다.
또한 이 테스트를 통해 제품의 리소스 사용량, 확장성 및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설계 및 아키텍처에서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 성능 엔지니어링의 하위 집합이다.
위의 이미지는 성능 테스트가 부하 및 스트레스 테스트 모두에 대한 상위 집합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성능 테스트에 포함된 다른 유형의 테스트는 스파이크 테스트, 볼륨 테스트, 내구성 테스트 및 확장성 테스트가 있다. 따라서 성능 테스트는 기본적으로 광범위한 용어이다.
성능 테스트의 주요 목표
에는 시스템의 벤치마크 동작을 설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성능 테스트는 애플리케이션의 결함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의 벤치마크 및 표준을 설정하는 중요한 작업을 처리한다.
그래서 실제 트래픽 상황에서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애플리케이션/시스템 성능에 대한 모니터링이 성능 테스트의 주요 특성을 의미한다.
성능 테스트는 속도(speed), 응답 시간(response time), 처리량(throughput), 자원 사용량(resource usage), 안정성(stability) 등의 속성을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벤치마크와 표준을 설정해야 하고, 이 모든 속성을 테스트한다.
성능 테스트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주로 사용된다.
실제 트래픽 상황에서의 정상 동작
기존 시스템 대비 BenchMar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