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주요 특징은 무상태성과, 비연결성이다.
무상태성
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비연결성
은 말 그대로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가지 특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HTTP 기본에 작성해두었다.
예를 들어, 홈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하고 난 뒤에 새로 고침을 하게 되면 로그인이 풀리는 상태가 된다.
로그인을 유지하기 위해서 서버가 다수의 클라이언트와 연결을 유지할 수 있지만, 그로 인해 자원이 낭비가 된다.
이러한 HTTP의 2가지 특징을 보완하기 위해 쿠키
가 등장하게 되었다.
쿠키
(Cookie)는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어떤 웹 사이트를 방문할 때,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로컬에 키(Key)와 값(Value) 을 저장하는 작은 데이터 파일이다.서버는 클라이언트의 로그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작성할 때,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하고 싶은 정보를 응답 헤더의 Set-Cookie
에 담아 전달한다.
이후 해당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보낼 때마다 요청 헤더에 Cookie
를 담아 전송한다.
쿠키에 담긴 정보를 통해 서버는 해당 요청의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식별한다.
쿠키는 세션 쿠키
와 지속 쿠키
,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세션 쿠키
(Session Cookie) : 브라우저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사이트를 검색할 때 관련된 설정과 선호 사항들을 저장하는 임시 쿠키로 브라우저를 종료하면 해당정보가 삭제된다.
지속 쿠키
(Persistent Cookie) : 파일로 저장되므로, 브라우저가 종료되거나 컴퓨터가 재시작되어도 해당정보가 남아있다.
두 가지 쿠키를 구분하는 기준은 파기되는 시점이다. 파기되는 시점을 가리키는 Expires
혹은 Max-Age
파라미터가 없으면 세션 쿠키이다.
Set-Cookie: <쿠키 이름>=<쿠키 값>; Expires=종료 시점
Set-Cookie: <쿠키 이름>=<쿠키 값>; Max-Age=유효 기간
쿠키가 브라우저, 즉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된다라는 것은 상당히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 부분은 쿠키가 탄생하게 된 중요한 배경이며, 안타깝게도 갖가지 이슈가 존재한다.
따라서 쿠키를 사용할 때는 아래와 같은 쿠키의 한계점들을 잘 인지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쿠키의 값이 브라우저에서 확인할 수 있어서 누군가로부터 유출 및 조작 당할 위험이 존재하므로 보안에 취약하다.
쿠키는 작은 데이터 파일로, 용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없다.
웹 브라우저마다 쿠기에 대한 지원 형식이 다르기 때문에 브라우저 간에 공유가 불가능하다.
쿠기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네트워크에 부하가 심해진다.
이러한 쿠키의 한계와 대체 기술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쿠키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가급적 보안 속성을 사용하시기를 권장한다.
Secure
이다. Set-Cookie
응답 헤더에 이 속성이 명시된 쿠키는 브라우저가 https
프로토콜 상에서만 서버로 돌려 보낸다. 네트워크 상에서 탈취되었을 때 문제가 될 수 있는 쿠키를 상대로 쓰면 유용할 것이다.Set-Cookie: <쿠키 이름>=<쿠키 값>; Secure
HttpOnly
이다.
Set-Cookie
응답 헤더에 이 속성이 명시된 쿠키는 이 속성이 명시된 쿠키는 브라우저에서 자바스크립트로 Document.cookie
객체를 통해 접근할 수 없다.Set-Cookie: <쿠키 이름>=<쿠키 값>; HttpOnly
쿠키는 브라우저에 저장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는 단점이 있다.
쿠키의 가장 큰 단점인 유출 및 조작 당할 위험을 보완하기 위해 세션
을 사용한다.
세션은 비밀번호와 같은 클라이언트의 인증 정보를 쿠키가 아닌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측에 요청을 보내면, 해당 서버의 엔진이 클라이언트에게 유일한 ID를 부여하는데, 이때 이 유일한 ID가 세션ID
이다.
세션ID
을 생성하여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한다.세션ID
를 쿠키에 담아서 전달한다.세션ID
를 전달한다.세션ID
의 유효성을 판별하여 클라이언트를 식별한다.장점1 : 쿠키를 포함한 요청이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세션ID 자체는 유의미한 개인정보를 담고 있지 않아서 비교적 안전하다.
단점1 : 하지만 누군가가 중간에 세션ID를 탈취해서 클라이언트인척 위장할 수 있다는 한계는 존재한다.
장점2 : 각 사용자마다 유일한 ID인 세션ID가 발급되므로,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회원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
단점2 : 클라이언트의 인증 정보가 서버에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많아지면 서버에 부하가 심해진다.
쿠키 | 세션 | |
---|---|---|
저장위치 | 쿠키는 브라우저에 메모리 또는 파일로 저장된다 | 세션은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
보안 | 쿠키는 브라우저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유출 및 조작 당할 위험이 존재한다 | 세션은 클라이언트 정보가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비교적 안전하다 |
라이프 사이클 | 쿠키는 파일로 저장될 때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정보가 남아있다 | 세션은 서버의 만료시간/날짜가 지나면 사라지거나 브라우저 종료시 세션ID가 사라진다 |
속도 | 쿠키에 정보가 있기 때문에 서버에 요청시 속도가 빠르다 | 세션은 서버의 메모리로부터 세션ID를 조회해야 하므로 속도가 쿠키보다 비교적 느리다 |
세션을 주로 사용하면 좋은데, 왜 굳이 쿠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세션은 브라우저가 아닌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서버의 메모리를 계속 사용하면 속도 저하가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웹 개발에서 쿠키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결정적인 이유
HTTP 프로토콜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는 무상태성과 연결을 유지시키지 않는 비연결성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을 하는 순간 HTTP 연결은 끊어지며, 클라이언트에서 새로운 요청을 해야 다시 HTTP 연결이 맺어지게 된다.
간단한 웹사이트가 아닌 이상 대부분의 서비스에서는 하나의 브라우저로 부터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여러 개의 요청이 동일한 사용자로 부터 오는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클라이언트와 연결이 유지되지 않는 상황에서 동시에 서버로 유입되는 수많은 요청이 각각 어느 사용자의 것인지 판단하는 것은 서버 입장에서 매우 힘든 일이다.
여기서 쿠키의 지속성이 빛을 발휘하게 된다.
바로 서버가 쿠키를 한 번 브라우저에 저장하면 브라우저는 해당 쿠키를 매 요청마다 계속해서 서버로 돌려 보낸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서버가 브라우저에 쿠키 하나만 심어 놓으면 그 후로 브라우저는 성실하게 매번 서버를 방문할 때 마다 해당 쿠키를 다시 가져온다.
이러한 쿠키의 특성을 활용하면 서버는 각 요청이 어느 브라우저에서 오는 것인지 어렵지 않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비스에 최초로 접속했을 때 서버가 브라우저에게 a=1
쿠키를 저장하라고 시키면,
HTTP 요청
GET /index.html HTTP/1.1
Host: www.test.com
HTTP 응답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html
Set-Cookie: a=1
해당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www.test.com
이라는 도메인에 머무는 한 /index.html
을 방문하든 /about.html
을 방문하든 /contact.html
을 방문하든 매번 같은 쿠키를 돌려준다.
그러므로 서버 입장에서는 a=1
쿠키를 들고 들어오는 요청은 모두 이 브라우저로 부터 오는 것이구나라고 쉽게 알 수 있다.
(물론 다른 브라우저에게 a=1
대신에 a=2
, a=3
와 같은 다른 쿠키를 응답해줘야 한다)
쿠키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세션을 유지하는 방식 중에서 현재까지 널리 사용하는 방식이다.
쿠키는 캐시와 충돌할 우려가 있으므로 대부분의 캐시나 브라우저는 쿠키에 있는 정보를 캐싱하지 않는다.
쿠키 | 캐시 | |
---|---|---|
정의 | 쿠키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웹서버에서 PC로 보내는 작은 파일들을 저장한다. 보통 쿠키는 누군가 특정한 웹 사이트를 접속할 때 발생한다. | 캐시 또한 웹 페이지 요소를 저장하기 위한 임시 저장소이다. 특히, 나중에 필요할 것 같은 요소들을 저장한다.이러한 요소들은 그림 파일이나 문서 파일 등이 될 수 있다. |
목적 | 쿠키는 사용자의 인증을 도와준다. | 캐시는 웹 페이지가 빠르게 렌더링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삭제 | 쿠키는 만료기간이 있어 시간이 지나면 자동삭제 된다. | 캐시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삭제해주어야한다. |
예시 | 유저의 선호도(로그인 정보, 방문기록, 방문횟수) | 오디오, 비디오 파일 |
```java import java.util.*;
import java.util.*;
/**
* main_con : 메인 컨테이너
* sub_con : 서브 컨테이너
* 주문 갯수만큼 for 문 돌리면서
* 1) 현재 순서와 맞는 택배 상자가 올때까지 서브 컨테이너 벨트에 저장한다.
* 1-1) 메인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에 있는 값과 일치하면 break;
* 1-2) 서브 컨테이너가 비어있지 않고, 서브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에 있는 값과 일치하면 break;
* 1-3) 메인, 서브에 있는 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1 증가시켜 1-1로 되돌아간다.
* 2) 서브 컨테이너(Stack)에 다 저장되었으면 탐색 시작한다.
* 2-1) 메인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에 있는 값과 일치하면 정답 갯수 +1 증가
* 2-2) 서브 컨테이너가 비어있지 않고, 서브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에 있는 값과 일치하면 서브 컨테이너 pop()하고 정답 갯수 + 1 증가
* 2-3) 메인, 서브에 있는 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종료
*/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order) {
int answer = 0;
int main_con = 1;
Stack<Integer> sub_con = new Stack<>();
for(int o : order) {
while(main_con <= order.length) { // 1
if(main_con == o) break; // 1-1
else if(!sub_con.isEmpty() && sub_con.peek() == o) // 1-2
break;
else { // 1-3
sub_con.push(main_con);
main_con++;
}
}
// 2
if(main_con == o) { // 2-1
answer++;
main_con++;
} else if(!sub_con.isEmpty() && sub_con.peek() == o) // 2-2
{
sub_con.pop();
answer++;
} else // 2-3
{
break;
}
}
return answer;
}
}
해당 문제는 두개의 컨테이너 벨트가 존재한다.
메인 컨테이너는 택배박스를 트럭에 싣기 전에 1부터 n까지 순서대로 놓여져 있는 메인 컨테이너 벨트이고,
서브 컨테이너는 순서에 맞지 않는 택배박스를 임시로 놓는 서브 컨테이너 벨드이다.
해당 문제에서 우리는 주어진 순서에 해당하는 택배 박스를 메인 또는 서브 컨테이너 벨트에 있는지 확인하고, 이것을 트럭에 싣는 것이다.
만약에 메인 컨테이너에 없다면 -> 서브 컨테이너 벨트의 맨 앞의 상자를 확인하고 -> 서브 컨테이너에도 없다면 택배 상자를 서브 컨테이너 벨트에 보관하고, 메인 컨테이너 벨트에서 다음 택배 상자를 확인한다.
할 일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구현은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이다.
Problem -> Thinking -> Solution
구현 유형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알고리즘은 간단한데 코드가 지나칠 만큼 길어지는 문제
실수 연산을 다루고, 특정 소수점 자리까지 출력해야 하는 문제
문자열을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끊어 처리해야 하는 문제
적절한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
구현 유형은 완전 탐색
, 시뮬레이션
을 포함한다.
완전 탐색
(Brute Forcing) : 모든 경우의 수를 주저 없이 다 계산하는 해결 방법시뮬레이션
: 문제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한 단계씩 차례대로 직접 수행관련 문제
연결된 노드의 개수는 몇 개인가요?
연결된 묶음/덩어리의 개수는 몇 개인가요?
1번과 연결된 노드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하세요
1번과 3번의 거리는 얼마인가요?
이 유형을 잘 풀기 위해 고민할 것들
주요 키워드: 정점(node), 간선(edge), 연결, 네트워크, 그래프
주어진 정보를 어떻게 변환할지 -> 2차원 배열(1,000이하) / ArrayList(1,000 초과)
재방문을 방지하는 방법
관련 문제
연결된 묶음/덩어리의 개수는 몇 개인가요?
가장 큰 덩어리의 크기는 얼마인가요?
이 유형을 잘 풀기 위해 고민할 것들
주요 키워드: 인접한 위치로 이동, 상하좌우, 가로/세로, 대각선으로 이동
주어진 정보를 어떻게 변환할지
재방문을 방지하는 방법
어느 지점에서 DFS를 시작할지
어느 방향으로 DFS를 진행할지
스택은 LIFO
(List In First Out, 후입선출) 구조로 데이터를 쌓아올린 형태의 자료구조를 뜻한다. ex) 쓰레기통, 마트용 음료수 진열대, 프링X스(과자)
즉 한쪽 끝에서만 자료(데이터)를 넣고 뺄 수 있는 형식의 자료 구조이다.
스택은 데이터를 쌓는 형식으로 저장하는데 따라서 조회, 추가, 삭제 모두 가장 위에 있는, 가장 최근의 값에서 이루어진다.
스택 구조에서 가장 상단에 있는 데이터를 Top
라 부른다.
관련 문제
Stack<Element> stack = new Stack<>();
public Element push(Element item); // 데이터 추가
public Element pop(); // 최근에 추가된(Top) 데이터 삭제
public Element peek(); // 최근에 추가된(Top) 데이터 조회
public boolean empty(); // stack의 값이 비었는지 확인, 비었으면 true, 아니면 false
public int seach(Object o); // 인자값으로 받은 데이터의 위치 반환, 그림으로 설명하겠음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for (int i = 0; i < 5; i++) {
stack.push(i + 1);
System.out.println(stack.peek());
} // 1, 2, 3, 4, 5 가 현재 들어가 있음
stack.pop(); // 1, 2, 3, 4
System.out.println(stack.peek()); // 4
System.out.println(stack.search(1)); // 4
System.out.println(stack.empty()); // false
큐는 FIFO
(First In First Out, 선입선출) 데이터를 순서대로 줄을 세운 형태의 자료구조를 뜻한다. ex) 놀이공원 이나 매표소 등 줄을 서서 차례로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
주로 앞(frotn
)에서는 조회/삭제
연산을 수행하고, 뒤(Rear)
에서는 삽입
연산을 수행한다.
그래프의 넓이 우선 탐색(BFS)에서도 사용된다.
용어 정리
Enqueue
: 큐 맨 뒤에 데이터 추가
Dequeue
: 큐 맨 앞쪽의 데이터 삭제
관련 문제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int형 queue 선언, linkedlist 이용
Queue<String> queue = new LinkedList<>(); //String형 queue 선언, linkedlist 이용
자바에서 큐는 LinkedList
를 활용하여 생성해야 한다. 그렇기에 그렇기에 Queue
와 LinkedList
가 다 import되어 있어야 사용이 가능하다.
Queue<Element> queue = new LinkedList<>()
와 같이 선언해주면 된다.
Queue<Integer> q = new LinkedList<>(); // int형 queue 선언
q.offer(3);
q.offer(5);
q.offer(1);
q.offer(4);
System.out.println(q); // 출력 결과 : [3, 5, 1, 4]
Queue에 값을 추가하려면 offer(value)
메서드를 사용한다.
이때, add(value) 메서드를 사용해서도 값을 추가할 수 있다.
큐 용량 초과 등의 이유로 값 추가에 실패했을 때, add() 메서드는 예외를 발생시키고 offer() 메서드는 false를 리턴한다는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