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import java.util.*;
import java.util.*;
/**
* main_con : 메인 컨테이너
* sub_con : 서브 컨테이너
* 주문 갯수만큼 for 문 돌리면서
* 1) 현재 순서와 맞는 택배 상자가 올때까지 서브 컨테이너 벨트에 저장한다.
* 1-1) 메인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에 있는 값과 일치하면 break;
* 1-2) 서브 컨테이너가 비어있지 않고, 서브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에 있는 값과 일치하면 break;
* 1-3) 메인, 서브에 있는 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1 증가시켜 1-1로 되돌아간다.
* 2) 서브 컨테이너(Stack)에 다 저장되었으면 탐색 시작한다.
* 2-1) 메인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에 있는 값과 일치하면 정답 갯수 +1 증가
* 2-2) 서브 컨테이너가 비어있지 않고, 서브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에 있는 값과 일치하면 서브 컨테이너 pop()하고 정답 갯수 + 1 증가
* 2-3) 메인, 서브에 있는 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종료
*/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order) {
int answer = 0;
int main_con = 1;
Stack<Integer> sub_con = new Stack<>();
for(int o : order) {
while(main_con <= order.length) { // 1
if(main_con == o) break; // 1-1
else if(!sub_con.isEmpty() && sub_con.peek() == o) // 1-2
break;
else { // 1-3
sub_con.push(main_con);
main_con++;
}
}
// 2
if(main_con == o) { // 2-1
answer++;
main_con++;
} else if(!sub_con.isEmpty() && sub_con.peek() == o) // 2-2
{
sub_con.pop();
answer++;
} else // 2-3
{
break;
}
}
return answer;
}
}
해당 문제는 두개의 컨테이너 벨트가 존재한다.
메인 컨테이너는 택배박스를 트럭에 싣기 전에 1부터 n까지 순서대로 놓여져 있는 메인 컨테이너 벨트이고,
서브 컨테이너는 순서에 맞지 않는 택배박스를 임시로 놓는 서브 컨테이너 벨드이다.
해당 문제에서 우리는 주어진 순서에 해당하는 택배 박스를 메인 또는 서브 컨테이너 벨트에 있는지 확인하고, 이것을 트럭에 싣는 것이다.
만약에 메인 컨테이너에 없다면 -> 서브 컨테이너 벨트의 맨 앞의 상자를 확인하고 -> 서브 컨테이너에도 없다면 택배 상자를 서브 컨테이너 벨트에 보관하고, 메인 컨테이너 벨트에서 다음 택배 상자를 확인한다.
할 일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구현은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이다.
Problem -> Thinking -> Solution
구현 유형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알고리즘은 간단한데 코드가 지나칠 만큼 길어지는 문제
실수 연산을 다루고, 특정 소수점 자리까지 출력해야 하는 문제
문자열을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끊어 처리해야 하는 문제
적절한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
구현 유형은 완전 탐색
, 시뮬레이션
을 포함한다.
완전 탐색
(Brute Forcing) : 모든 경우의 수를 주저 없이 다 계산하는 해결 방법시뮬레이션
: 문제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한 단계씩 차례대로 직접 수행관련 문제
연결된 노드의 개수는 몇 개인가요?
연결된 묶음/덩어리의 개수는 몇 개인가요?
1번과 연결된 노드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하세요
1번과 3번의 거리는 얼마인가요?
이 유형을 잘 풀기 위해 고민할 것들
주요 키워드: 정점(node), 간선(edge), 연결, 네트워크, 그래프
주어진 정보를 어떻게 변환할지 -> 2차원 배열(1,000이하) / ArrayList(1,000 초과)
재방문을 방지하는 방법
관련 문제
연결된 묶음/덩어리의 개수는 몇 개인가요?
가장 큰 덩어리의 크기는 얼마인가요?
이 유형을 잘 풀기 위해 고민할 것들
주요 키워드: 인접한 위치로 이동, 상하좌우, 가로/세로, 대각선으로 이동
주어진 정보를 어떻게 변환할지
재방문을 방지하는 방법
어느 지점에서 DFS를 시작할지
어느 방향으로 DFS를 진행할지
스택은 LIFO
(List In First Out, 후입선출) 구조로 데이터를 쌓아올린 형태의 자료구조를 뜻한다. ex) 쓰레기통, 마트용 음료수 진열대, 프링X스(과자)
즉 한쪽 끝에서만 자료(데이터)를 넣고 뺄 수 있는 형식의 자료 구조이다.
스택은 데이터를 쌓는 형식으로 저장하는데 따라서 조회, 추가, 삭제 모두 가장 위에 있는, 가장 최근의 값에서 이루어진다.
스택 구조에서 가장 상단에 있는 데이터를 Top
라 부른다.
관련 문제
Stack<Element> stack = new Stack<>();
public Element push(Element item); // 데이터 추가
public Element pop(); // 최근에 추가된(Top) 데이터 삭제
public Element peek(); // 최근에 추가된(Top) 데이터 조회
public boolean empty(); // stack의 값이 비었는지 확인, 비었으면 true, 아니면 false
public int seach(Object o); // 인자값으로 받은 데이터의 위치 반환, 그림으로 설명하겠음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for (int i = 0; i < 5; i++) {
stack.push(i + 1);
System.out.println(stack.peek());
} // 1, 2, 3, 4, 5 가 현재 들어가 있음
stack.pop(); // 1, 2, 3, 4
System.out.println(stack.peek()); // 4
System.out.println(stack.search(1)); // 4
System.out.println(stack.empty()); // false
큐는 FIFO
(First In First Out, 선입선출) 데이터를 순서대로 줄을 세운 형태의 자료구조를 뜻한다. ex) 놀이공원 이나 매표소 등 줄을 서서 차례로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
주로 앞(frotn
)에서는 조회/삭제
연산을 수행하고, 뒤(Rear)
에서는 삽입
연산을 수행한다.
그래프의 넓이 우선 탐색(BFS)에서도 사용된다.
용어 정리
Enqueue
: 큐 맨 뒤에 데이터 추가
Dequeue
: 큐 맨 앞쪽의 데이터 삭제
관련 문제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int형 queue 선언, linkedlist 이용
Queue<String> queue = new LinkedList<>(); //String형 queue 선언, linkedlist 이용
자바에서 큐는 LinkedList
를 활용하여 생성해야 한다. 그렇기에 그렇기에 Queue
와 LinkedList
가 다 import되어 있어야 사용이 가능하다.
Queue<Element> queue = new LinkedList<>()
와 같이 선언해주면 된다.
Queue<Integer> q = new LinkedList<>(); // int형 queue 선언
q.offer(3);
q.offer(5);
q.offer(1);
q.offer(4);
System.out.println(q); // 출력 결과 : [3, 5, 1, 4]
Queue에 값을 추가하려면 offer(value)
메서드를 사용한다.
이때, add(value) 메서드를 사용해서도 값을 추가할 수 있다.
큐 용량 초과 등의 이유로 값 추가에 실패했을 때, add() 메서드는 예외를 발생시키고 offer() 메서드는 false를 리턴한다는 차이가 있다.
이 글의 코드와 정보들은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 2] 강의를 들으며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이번 글은 주문내역
에서 주문한 상품 정보
를 추가로 조회하자.
Order 기준으로 컬렉션인 OrderItem
와 Item
이 필요하다.
(참고로, 위의 엔티티 테이블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주문과 주문상품(OrderItem)은 일대다 관계이며, 주문상품과 상품(Item)은 다대일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전 글인 지연 로딩과 조회 성능 최적화 부분에서는 toOne(OneToOne, ManyToOne) 관계에 대한 해결책을 정리했다.
이번에는 컬렉션인 엔티티 조회
를 기준으로 일대다(OneToMany) 관계를 조회하고, 최적화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앞서, 이번 글에서는 V1(엔티티 직접 노출), V2(엔티티를 조회해서 DTO로 변환)은 이전 글에서 이미 다루었기 때문에 생략했다.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ApiController {
@GetMapping("/api/v3/orders")
public List<OrderDto> ordersV3() {
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WithItem();
for (Order order : orders) {
System.out.println("order ref=" + order + " id=" + order.getId());
}
List<OrderDto> result = orders.stream()
.map(o -> new OrderDto(o))
.collect(toList());
return result;
}
}
출력결과
order ref=jpabook.jpashop.domain.Order@27dc3bfe id=4
order ref=jpabook.jpashop.domain.Order@27dc3bfe id=4
order ref=jpabook.jpashop.domain.Order@300b5fd6 id=11
order ref=jpabook.jpashop.domain.Order@300b5fd6 id=11
DB 참조값, JPA pk id 값이 동일하게 2번 반복되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일하게 반복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DB 쿼리문에서 distinct
를 추가해주면 된다.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ublic List<Order> findAllWithItem()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distinct o from Order o" +
" join fetch o.member m" +
" join fetch o.delivery d" +
" join fetch o.orderItems oi" +
" join fetch oi.item i", Order.class)
.setFirstResult(1)
.setMaxResults(100)
.getResultList();
}
}
페치 조인(fetch join)으로 SQL이 1번만 실행된다.
현재 Order(주문)과 OrderItem(주문상품)의 관계는 일대다 관계이면서 조인이 있으므로 데이터베이스의 row가 증가한다.
그 결과 같은 order 엔티티의 조회 수도 증가하게 된다.
이런 반복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SQL에 distinct
를 추가하고, 더해서 같은 엔티티가 조회되면, 애플리케이션에서 중복을 걸러주게 된다.
위의 예시처럼 order
가 컬렉션 페치 조인 때문에 중복 조회 되는 것을 막아준다.
하지만 이런 경우 단점이 존재한다.
컬렉션 페치 조인을 사용하면 페이징이 불가능하다.
하이버네이트는 경고 로그를 남기면서 모든 데이터를 DB에서 읽어오고, 메모리에서 페이징 해버려 매우 위험한 결과를 초래한다.
컬렉션 페치 조인은 1개만 사용할 수 있다. 컬렉션 둘 이상에 페치 조인을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가 부정합하게 조회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해선 안된다.
(자세한 내용은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을 참고하자)
그렇다면 페이징 + 컬렉션 엔티티
를 함께 조회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 ToOne(OneToOne, ManyToOne) 관계를 모두 페치 조인한다.
ToOne
관계는 row 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페이징 쿼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켈력선은 지연 로딩으로 조회한다.
지연 로딩 성능 최적화를 위해 다음 2가지를 중 1개를 사용하면 된다.
[1] 글로벌 설정: application.yml 파일에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를 추가한다.
[2] 개별 최적화: 적용할 엔티티 클래스, 컬렉션 필드 위에 @BatchSize
을 추가한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컬렉션이나, 프록시 객체를 한꺼번에 설정한 size 만큼 IN 쿼리로 조회한다.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 재사용성 O
public List<Order> findAllWithMemberDelivery()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o from Order o" +
" join fetch o.member m" +
" join fetch o.delivery d", Order.class
).getResultList();
}
}
/**
* V3.1 엔티티를 조회해서 DTO로 변환 페이징 고려
*-ToOne 관계만 우선 모두 페치 조인으로 최적화
* - 컬렉션 관계는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BatchSize로 최적화 */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ApiController {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GetMapping("/api/v3.1/orders")
public List<OrderDto> ordersV3_page(@RequestParam(value = "offset",
defaultValue = "0") int offset,
@RequestParam(value = "limit", defaultValue
= "100") int limit) {
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WithMemberDelivery(offset,
limit);
List<OrderDto> result = orders.stream()
.map(o -> new OrderDto(o))
.collect(toList());
return result;
}
}
spring: jpa:
properties:
hibernate:
default_batch_fetch_size: 1000
만약, 글로벌 설정이 아닌 개별로 설정하려면 @BatchSize
를 적용하면 된다.
이렇게 최적화 옵션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존재한다.
쿼리 호출 수가 1 + N
-> 1 + 1
로 최적화 된다. (N+1 문제 해결)
조인보다 DB 데이터 전송량이 최적화 된다. (Order와 OrderItem을 조인하면 Order가 OrderItem 만큼 중복해서 조회된다. 이 방법은 각각 조회하므로 전송해야할 중복 데이터가 없다)
페치 조인 방식과 비교해서 쿼리 호출 수가 약간 증가하지만, DB 데이터 전송량이 감소한다.
컬렉션 페치 조인은 페이징이 불가능하지만, 이 방법은 페이징이 가능하다.
결론
ToOne
관계는 페치 조인해도 페이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ToOne
관계는 페치 조인으로 쿼리 수를 줄이고, 나머지는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로 최적화하자.
참고로, default_batch_fetch_size
의 크기는 100 ~ 1000 사이 선택하는 것을 권장한다. DB에 따라 IN 절 파라미터를 1000으로 제한하기도 한다.
예시) 1000으로 잡으면 한번에 1000개를 DB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불러오므로 DB에 순간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은 100이든 1000이든 결국 전체 데이터를 로딩해야 하므로 메모리 사용량이 같다.
즉, DB든 애플리케이션이든 순간 부하를 어디까지 견딜 수 있는지로 결정하면 된다.
컬렉션이 포함된 조회인 경우 어떻게 해야 최적화 되는지 알게 되는 강의였다.
다대일, 일대일 관계처럼 ToOne
관계는 페치 조인으로 하고 일대다 관계인 ToMany
인 경우 개별적으로 @BatchSize
하거나 또는 글로벌 설정으로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을 적용하자.
이번 시간에는 엔티티 조회
를 기준으로 컬렉션에 대한 조회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정리했다.
다음 시간에는 DTO 직접 조회
를 기준으로 컬렉션에 대한 조회를 최적화 하는 방법을 정리해보자.
이 글의 코드와 정보들은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 2] 강의를 들으며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주문 + 배송정보 + 회원을 조회하는 API를 만들면서 지연 로딩 때문에 발생하는 성능 문제를 단계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을 정리했다.
OrderSimpleApiController
package jpabook.jpashop.api;
/**
* xToOne(ManyToOne, OneToOne) - 성능 최적화
* Order
* Order -> Member
* Order -> Delivery
*/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impleApiController {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
* V1. 엔티티 직접 노출
* - Hibernate5Module 모듈 등록, LAZY=null 처리 * - 양방향 관계 문제 발생 -> @JsonIgnore
*/
@GetMapping("/api/v1/simple-orders")
public List<Order> ordersV1() {
List<Order> all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
for (Order order : all) {
order.getMember().getName();
order.getDelivery().getAddress();
}
return all;
}
}
엔티티를 직접 노출하는 것은 좋지 않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서는 이전글에서 이미 설명했음)
order
-> member
, order
-> delivery
는 지연 로딩으로 실제 엔티티 대신에 프록시가 존재하게 된다.
Order
- Member
엔티티는 다대일 관계, Order
와 Delivery
는 일대일 관계)jackson 라이브러리는 기본적이로 이 프록시 객체를 json으로 어떻게 생성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예외가 발생한다.
No serializer found for class org.hibernate.proxy.pojo.bytebuddy.ByteBuddyInterceptor and no properties discovered to create BeanSerializer (to avoid exception, disable SerializationFeature.FAIL_ON_EMPTY_BEANS) (through reference chain: java.util.ArrayList[0]->jpabook.jpashop.domain.Order["member"]->jpabook.jpashop.domain.Member$HibernateProxy$5vbd87AL["hibernateLazyInitializer"])
따라서 Hibernate5Module
을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면 해결된다.
build.gradle
에서 다음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implementation 'com.fasterxml.jackson.datatype:jackson-datatype-hibernate5'
그런 다음, JpashopApplication
에 다음 코드를 추가해준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Jpashop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JpashopApplication.class, args);
}
@Bean
Hibernate5Module hibernate5Module() {
Hibernate5Module hibernate5Module = new Hibernate5Module();
//강제 지연 로딩 설정 (사실 아래에 있는 건 쓰면 안됨)
hibernate5Module.configure(Hibernate5Module.Feature.FORCE_LAZY_LOADING,true);
return hibernate5Module;
}
}
@JsonIgnore
옵션을 두개의 엔티티중 한곳에 주어야 한다.정리: 해당 방법은 강제로 지연 로딩을 설정해서 에러를 해결했으나, 이전에 말했듯이 엔티티를 API 응답으로 외부로 노출하는 것은 좋지 않다. 따라서 Hibernate5Module
를 사용하기 보다는 DTO
로 변환해서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OrderSimpleApiController - 추가
package jpabook.jpashop.api;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impleApiController {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GetMapping("/api/v2/simple-orders")
public List<SimpleOrderDto> ordersV2() {
// ORDER 2개
// N + 1 -> 1 + N(2): 첫번째 쿼리의 결과로 n번만큼 query가 추가 실행되는 게 N + 1이라는 의미임.
// N + 1 -> 1 + 회원 N + 배송 N
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
List<SimpleOrderDto> result = orders
.stream()
.map(o -> new SimpleOrderDto(o))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result;
}
@Data
static class SimpleOrderDto {
private Long order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private OrderStatus orderStatus;
private Address address;
public SimpleOrderDto(Order order) {
orderId = order.getId();
name = order.getMember().getName(); // LAZY 초기화
orderDate = order.getOrderDate();
orderStatus = order.getStatus();
address = order.getDelivery().getAddress(); // LAZY 초기화
}
}
}
V1과 다르게 V2에서는 엔티티를 DTO로 변환한 일반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V2에서는 실제 쿼리를 실행했을 때 N+1
문제가 생긴다.
현재 로직상 order
와 연관된 member
와 delivery
에서 지연 로딩으로 인해 조회가 N번 실행된다.
그래서 쿼리가 총 1 + N + N
번 실행된다. (이는 V1에서의 쿼리 수 결과와 같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order
조회에서 1번, order -> member
지연 로딩 조회에서 N번, order -> delivery
지연 로딩 조회에서 N번이 실행된다.
만약 같은 회원이였으면 N번이 아닌 1번인데, 서로 다른 회원이므로 N번이 된 것이다.
지연로딩은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조회하므로, 이미 조회된 경우 쿼리를 생략한다.
따라서 이러한 N+1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치 조인(fetch join)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OrderSimpleApiController - 추가
package jpabook.jpashop.api;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impleApiController {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GetMapping("/api/v3/simple-orders")
public List<SimpleOrderDto> ordersV3() {
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WithMemberDelivery();
List<SimpleOrderDto> result = orders.stream()
.map(o -> new SimpleOrderDto(o))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result;
}
}
OrderRepository - 추가 코드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 재사용성 O
public List<Order> findAllWithMemberDelivery()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o from Order o" +
" join fetch o.member m" +
" join fetch o.delivery d", Order.class
).getResultList();
}
}
엔티티를 페치 조인(fetch join)을 사용해서 5번이였던 쿼리를 1번만 조회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페치 조인으로 인해 order -> member
, order -> delivery
는 이미 조회된 상태이므로 지연로딩이 되지 않는다.
실제 쿼리를 돌려보면 아래와 같이 조회 결과가 나오게 된다.
select
order0_.order_id as order_id1_6_0_,
member1_.member_id as member_i1_4_1_,
delivery2_.delivery_id as delivery1_2_2_,
order0_.delivery_id as delivery4_6_0_,
order0_.member_id as member_i5_6_0_,
order0_.order_date as order_da2_6_0_,
order0_.status as status3_6_0_,
member1_.city as city2_4_1_,
member1_.street as street3_4_1_,
member1_.zipcode as zipcode4_4_1_,
member1_.name as name5_4_1_,
delivery2_.city as city2_2_2_,
delivery2_.street as street3_2_2_,
delivery2_.zipcode as zipcode4_2_2_,
delivery2_.status as status5_2_2_
from
orders order0_
inner join
member member1_
on order0_.member_id=member1_.member_id
inner join
delivery delivery2_
on order0_.delivery_id=delivery2_.delivery_id
2023-10-19 14:56:18.992 INFO 48324 --- [nio-8080-exec-5] p6spy : #1697694978992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9|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select order0_.order_id as order_id1_6_0_, member1_.member_id as member_i1_4_1_, delivery2_.delivery_id as delivery1_2_2_, order0_.delivery_id as delivery4_6_0_, order0_.member_id as member_i5_6_0_, order0_.order_date as order_da2_6_0_, order0_.status as status3_6_0_, member1_.city as city2_4_1_, member1_.street as street3_4_1_, member1_.zipcode as zipcode4_4_1_, member1_.name as name5_4_1_, delivery2_.city as city2_2_2_, delivery2_.street as street3_2_2_, delivery2_.zipcode as zipcode4_2_2_, delivery2_.status as status5_2_2_ from orders order0_ inner join member member1_ on order0_.member_id=member1_.member_id inner join delivery delivery2_ on order0_.delivery_id=delivery2_.delivery_id
select order0_.order_id as order_id1_6_0_, member1_.member_id as member_i1_4_1_, delivery2_.delivery_id as delivery1_2_2_, order0_.delivery_id as delivery4_6_0_, order0_.member_id as member_i5_6_0_, order0_.order_date as order_da2_6_0_, order0_.status as status3_6_0_, member1_.city as city2_4_1_, member1_.street as street3_4_1_, member1_.zipcode as zipcode4_4_1_, member1_.name as name5_4_1_, delivery2_.city as city2_2_2_, delivery2_.street as street3_2_2_, delivery2_.zipcode as zipcode4_2_2_, delivery2_.status as status5_2_2_ from orders order0_ inner join member member1_ on order0_.member_id=member1_.member_id inner join delivery delivery2_ on order0_.delivery_id=delivery2_.delivery_id;
OrderSimpleApiController - 추가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impleApiController {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private final OrderSimpleQueryRepository orderSimpleQueryRepository; // 의존관계 주입(V4)
@GetMapping("/api/v4/simple-orders")
public List<OrderSimpleQueryDto> ordersV4() {
return orderSimpleQueryRepository.findOrderDto();
}
}
OrderSimpleQueryRepository 조회 전용 리포지토리
package jpabook.jpashop.repository.order.simplequery;
/**
* 성능 최적화 관련 레포지토리 경우
* 따로 패키지를 만들어서 그 안에 관련 클래스를 만든다.
*/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impleQuery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 재사용 X, 유지보수성 O
// 이런 식으로 성능 최적화에 대한 것은 따로 패키지를 분리하는 것을 권장함
public List<OrderSimpleQueryDto> findOrderDto()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new jpabook.jpashop.repository.order.simplequery.OrderSimpleQueryDto(o.id, m.name, o.orderDate, o.status, d.address)" +
" from Order o" +
" join o.member m" +
" join o.delivery d", OrderSimpleQueryDto.class)
.getResultList();
}
}
OrderSimpleQueryDto 리포지토리에서 DTO 직접 조회
package jpabook.jpashop.repository.order.simplequery;
@Data
public class OrderSimpleQueryDto {
private Long order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private OrderStatus orderStatus;
private Address address;
public OrderSimpleQueryDto(Long orderId, String name, LocalDateTime orderDate, OrderStatus orderStatus, Address address) {
this. orderId = orderId;
this.name = name;
this.orderDate = orderDate;
this.orderStatus = orderStatus;
this.address = address;
}
}
일반적인 SQL을 사용할 때 처럼 원하는 값을 선택해서 조회하는 방법이다.
new
명령어를 사용해서 JPQL의 결과를 DTO로 즉시 반환한다.
SELECT 절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선택하므로 DB 면에서 에플리케이션 네트워트 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지만 생각보다 미비하다.
실제 쿼리를 돌려보면 아래와 같이 조회 결과가 나오게 된다.
select
order0_.order_id as col_0_0_,
member1_.name as col_1_0_,
order0_.order_date as col_2_0_,
order0_.status as col_3_0_,
delivery2_.city as col_4_0_,
delivery2_.street as col_4_1_,
delivery2_.zipcode as col_4_2_
from
orders order0_
inner join
member member1_
on order0_.member_id=member1_.member_id
inner join
delivery delivery2_
on order0_.delivery_id=delivery2_.delivery_id
2023-10-19 15:28:50.970 INFO 48765 --- [nio-8080-exec-3] p6spy : #1697696930970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select order0_.order_id as col_0_0_, member1_.name as col_1_0_, order0_.order_date as col_2_0_, order0_.status as col_3_0_, delivery2_.city as col_4_0_, delivery2_.street as col_4_1_, delivery2_.zipcode as col_4_2_ from orders order0_ inner join member member1_ on order0_.member_id=member1_.member_id inner join delivery delivery2_ on order0_.delivery_id=delivery2_.delivery_id
select order0_.order_id as col_0_0_, member1_.name as col_1_0_, order0_.order_date as col_2_0_, order0_.status as col_3_0_, delivery2_.city as col_4_0_, delivery2_.street as col_4_1_, delivery2_.zipcode as col_4_2_ from orders order0_ inner join member member1_ on order0_.member_id=member1_.member_id inner join delivery delivery2_ on order0_.delivery_id=delivery2_.delivery_id;
사실 V3와 V4간의 성능 차이가 크게 나진 않는다.
V4의 경우, DTO에 직접 조회하기 때문에 리포지토리 재사용성이 떨어지고, API 스펙에 맞춘 코드가 리포지토리에 들어가는 단점이 존재한다.
반면에 V3의 경우, 엔티티로 조회해서 리포지토리 재사용성이 좋고 개발도 단순하다.
엔티티를 DTO로 변환하거나(V3), DTO로 바로 조회하는(V4) 두 가지 방법이 각각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쿼리 방식을 선택할 때 권장하는 순서를 정리했다.
쿼리 방식 선택 권장 순서
(4번의 경우, 이 강의에서는 다루지 않아서 추후 실제 개발하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 그때 가서 다시 정리할 예정이다)
조회하는 부분에서 쿼리를 실행했을 때 N+1
문제가 발생하는 점과 그러한 문제를 페치 조인
(fetch join)으로 해결하는 방법도 알게되었다.
현재 혹은 미래에 내가 진행하는 프로젝트에서 위와 비슷한 문제가 생겼을 때, 페치 조인
(fetch join)으로 성능을 최적화하는 걸 적용해보도록 하자.
(해당 강의에서는 예시로 만든 자료이고, 예시에 있는 데이터가 적기도 해서 최적화하는 방법이 간단했지만, 실제 업무에서는 최적화를 적용하기가 어려울 것이라 생각한다)